1. 개요
소액결제(콘텐츠이용료)는 이동전화 후불요금에 합산되는 결제입니다. 미납/연체가 발생하면 통상 소액결제 이용중지·한도 축소·채권 추심 등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정책은 각 통신사(SKT · KT · LG U+)와 PG사 약관을 따릅니다.
이용중지/한도축소 채권 이관 분할상환 이의제기 사기 예방
※ 통화료 미납과 소액결제 미납은 처리 채널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청구서 상세내역을 먼저 확인하세요.
2. 흔한 증상
계정/한도 문제
- 소액결제 차단 또는 한도 0원으로 변경
- 문자/앱 알림: 연체 안내, 채권사 이관 예고
- 추가 결제 승인 실패(“이용제한” 메시지)
청구/추심
- 청구서에 “콘텐츠이용료/정보이용료” 미납 표시
- PG/대행사로부터 납부 독촉/안내 연락
- 연체 이자/지연손해금(약관 범위) 부과
3. 미납 원인
- 납부일 경과·자동이체 실패(잔액/한도 부족)
- 명의자/가족의 무단 결제 또는 피싱·사기
- 해지·번호이동 과정에서 결제 대금 누락
- 해외결제/구독 서비스의 청구 주기 오인
TIP: 구독/앱 내 결제는 통신사에서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, 플랫폼 영수증(구글/애플/게임사)도 함께 확인하세요.
4. 처리 절차(요약)
5. 납부/분할/이용 재개
즉시 납부 | 통신사 앱/ARS/고객센터에서 카드·계좌 납부. 연체료는 약관 범위 내 부과될 수 있음. |
---|---|
분할 상환 | 채권사 이관 시 회선 유지 조건으로 분할 협의 가능(기관·사별 정책 상이). |
이용 재개 | 완납 후에도 소액결제 한도는 단계적으로 복구될 수 있음. 위험관리 기간 동안 제한 가능. |
구독/자동결제 | 플랫폼(구글/애플/게임사)에서 구독 해지·결제수단 변경 필수. 재승인 방지. |
납부 경로: 통신사 고객센터 · PG사(예: 다날, KG모빌리언스) · 플랫폼 스토어 영수증 센터.
6. 이의제기/사기 대응
이의제기 사유
- 본인·가족 구성원 비인가 결제(무단 사용)
- 피싱/스미싱/유사 고객센터 유도 결제
- 미성년자 결제·과다 결제(보호자 동의 없음)
- 이중 청구/오류 청구
진행 방법
- 통신사 앱/고객센터에서 이의제기 접수(결제일·금액·가맹점·단말기 정보 첨부)
- 플랫폼 영수증(구글/애플)·문자 기록·통화 녹취 제출
- 사기 의심 시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 병행
- 분쟁 장기화 시 한국소비자원 분쟁조정 신청
주의: “수수료 내면 미납 탕감”·“대리 납부 후 현금화” 등 제안은 사기 가능성이 높습니다.
7. 재발 방지 설정
- 한도/차단 — 소액결제 월 한도 축소 또는 상시 차단(통신사 앱에서 즉시 설정)
- 알림 — 승인/청구 실시간 푸시·문자 알림 켜기
- 본인확인 — 2단계 인증, 생체 인증 잠금
- 구독 관리 — 사용하지 않는 구독 즉시 해지, 가족 결제 승인제
- 피싱 예방 — 출처 불명 링크 클릭 금지, 고객센터 앱 설치 요구 주의
8. 체크리스트
미납 발생 시
- 최근 6개월 결제내역·가맹점·단말기 확인
- 통신사/PG/플랫폼 중 청구 채널 파악
- 완납 또는 분할 상환 협의(증빙 보관)
사기 의심 시
- 즉시 소액결제 차단 및 비밀번호 변경
- 플랫폼 영수증/문자/통화 기록 확보
- 경찰/소비자원 신고 접수
9. FAQ
Q1. 미납을 갚아도 한도 복구가 안 돼요.
완납 후에도 내부 위험관리 정책으로 일정 기간 제한될 수 있습니다. 사용 이력 축적 후 단계 복구가 일반적입니다.
Q2. 가족이 무단 결제했어요. 취소 가능한가요?
미사용·미조회 상태이거나 사기/오인 증빙이 명확하면 취소될 수 있지만, 채널·약관별로 상이합니다. 통신사/플랫폼에 즉시 이의제기하세요.
Q3. 채권사 연락이 왔습니다. 무시해도 되나요?
연체 장기화 시 불이익이 커질 수 있습니다.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상환 계획을 협의하세요.
Q4. 일시적으로 소액결제를 다시 써야 합니다.
완납·분할 협의 후 한도/차단 설정을 일부 해제할 수 있으나, 재연체 위험을 고려해 최소 범위로 조정하세요.